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 조건, 소득기준, 계좌개설 일정까지 완벽 정리

     

    2025년에도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한 가장 강력한 금융정책,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하고, 정부가 최대 월 3.3만 원까지 기여금을 더해주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주어지는 정책형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이라면 조건 확인 후 꼭 신청해야 할 제도”인 만큼
    이 글에서는 가입 조건부터 신청 절차, 계좌 개설 일정, 유의사항까지 모든 정보를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한
    5년 만기 자유적립식 금융상품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 가능
    • 정부가 소득에 따라 최대 월 3.3만 원 기여금 지급
    • 만기 시 원금 + 이자 + 정부지원금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제공
    • 3년 이상 유지 시 부분 해지 가능
    • 2025년 기준 연 최대 수익률 7.64% 추정 (정부 기여금 포함 시)

    이 상품은 특히 적금과 비슷한 구조이지만, 정부 보조금이 더해지는 형태
    은행 금리 외에 별도 혜택이 많아 청년 사이에서 필수 금융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4가지 요건 모두 충족 필요)

    ① 나이 요건

    •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 단, **병역이행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 가능

    ② 개인소득 요건

    • 직전 과세 연도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세 기준 소득은 6,300만 원 이하)

    ※ 육아휴직수당, 병역보상금 등 비과세 항목 포함 시도 예외 허용 가능
    ※ 군 복무 중이거나 육아휴직 중인 경우도 일부 예외로 신청 가능

    ③ 가구소득 요건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원 수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50%
    1인 가구 66,853,350원
    2인 가구 110,478,270원
    3인 가구 141,439,710원
    4인 가구 171,897,390원
    5인 가구 200,872,050원
    6인 가구 228,551,070원
    7인 가구 255,449,820원
    가구는 본인을 포함해 **부모, 배우자, 형제자매(미성년자 포함)**로 판단됩니다.

     

    ④ 금융소득종합과세 비대상자

    • 직전 3개 과세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자
    • (예: 이자, 배당소득 연 2천만 원 초과자 제외)

     

    3.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 (월 최대 33,000원)

    연소득 구간 월 기여금
    2,400만 원 이하 33,000원
    2,400~3,600만 원 이하 30,000원
    3,600~4,800만 원 이하 27,000원
    4,800~6,000만 원 이하 24,000원
    6,000~7,500만 원 이하 21,000원

    💡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기여금이 커지며,

    기준 초과 시에도 계좌 개설 및 자유적립은 가능하지만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음에 유의하세요.

     

    4. 2025년 7월 계좌 개설 일정 및 신청 절차

    📆 7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일정 (서민금융진흥원 기준)

    • 7월 1일(화)~12일(금): 청년도약계좌 신청
    • 7월 14일~18일: 가입 요건 확인
    • 7월 17일~25일: 1인가구 대상 계좌 개설
    • 7월 28일~31일: 전체 가입자 계좌 개설
    • 8월 8일: 미개설자 계좌 재확인 및 마감

    👉 신청은 취급은행 앱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누리집에서 비대면으로 진행 가능

     

    5. 신청 가능한 은행 목록

    2025년 기준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 취급은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 IBK기업은행
    • 부산은행
    • 경남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iM뱅크

    각 은행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와 우대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입 전 금리 비교 사이트(은행연합회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 바로가기) 참고 필수!

     

    6. 청년도약계좌 유지 혜택 및 추가 기능

    📌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 중도해지 시에도 기여금의 60%까지 회수 가능
    • 3년 이상 유지 시 부분 인출(납입액의 40%) 가능

    📌 신용점수 가점 혜택 (2025년 신설)

    • 2년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 점수 가점 5~10점 부여
    • (KCB, NICE 기준)

    📌 청년도약계좌 자동 연결 기능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청년희망적금 가입 내역 자동 연동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중도에 해지하면 손해인가요?
    A. 3년 이상 유지했다면 기여금의 60% 보존 + 이자 수령 가능. 3년 미만 해지 시 정부지원금 전액 회수될 수 있습니다.

    Q. 고소득 청년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연 소득 7,500만 원 초과 시 기여금은 제외되지만, 계좌 개설은 가능하고 자유적립 가능.

    Q. 월 적립금은 고정인가요?
    A. 아닙니다. 월 최대 7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합니다. 금액은 매월 변경 가능

     

    8. 요약 정리

    • ✅ 대상: 만 19~34세,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
    • ✅ 지원: 월 최대 3.3만 원 정부 기여금 + 자유적립 + 비과세 이자 혜택
    • ✅ 기간: 5년 유지 시 최고 수익률, 3년 유지 시 부분 회수 가능
    • ✅ 신청: 은행 앱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비대면 가능
    • ✅ 주의: 신청 후 심사에 1~2주 소요되므로 미리 신청 권장

     

    ✔ 지금 바로 청년도약계좌 신청하고, 청년의 미래자산을 차곡차곡 준비하세요 😊

     

     

     

     

    9.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1인당 최대 55만원! 지원대상, 사용처, 신청기간 총정리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1인당 최대 55만원! 지원대상, 사용처, 신청기간 총정리 2025년 하반기,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합니다.이번 쿠폰은 최대 55만 원까

    i.cadowebsite.com

     

    [2025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2유형 차이점 총정리|자격조건, 지원금, 신청방법까지

    [2025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2유형 차이점 총정리|자격조건, 지원금, 신청방법까지 2025년에도 정부는 구직자·청년·저소득층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

    i.cadowebsite.com

     

    2025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총정리

    근로장려금은 매년 수많은 근로자와 저소득 가구에게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국가 직접지원금입니다.하지만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내가 받을 수 있는지”, “어디서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e.cadowebsite.com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신청 사용 방법 총정리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최근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있는 제도입니다. 이 카드는 직업 능력 향상과 재취업을 위한 교육을 지원하는 카드로, 많은 분들이 이 제도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얻고 있

    e.cadowebsite.com

     

     

     

    반응형